- 3GS 기준 총 128MB
- process 가용양 : 46MB
'i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S Objective-C Hello World (0) | 2024.10.27 |
---|
iOS Objective-C Hello World (0) | 2024.10.27 |
---|
QtConcurrent : MapReduce 모델에 대한 Qt의 대안 (0) | 2011.01.08 |
---|---|
const object 상수형 객체 (0) | 2010.09.09 |
[CodeBlocks & wxPack] 손쉽게 Windows에서 wxWidgets(wxWindows) 개발 환경 구성하기 (3) | 2009.10.30 |
Google ctemplate (0) | 2009.07.08 |
C++ 함수 가림 현상(name hiding)과 using 키워드 활용하기 (0) | 2009.03.08 |
Apache FOP example : Generate a PDF (0) | 2013.10.29 |
---|---|
Windows XP 에서 iCloud Control Panel 설치(INSTALL) (4) | 2011.10.25 |
VMWare Fusion Windows 설치와 F8 키 (0) | 2009.08.06 |
IEEE 1471 (0) | 2009.05.18 |
Ghostscript & GSview for Windows (4) | 2009.01.13 |
The following errors were found while loading the MIBS: -:0 1 module-not-found failed to locate MIB module `IP-MIB' -:0 1 module-not-found failed to locate MIB module `IF-MIB' -:0 1 module-not-found failed to locate MIB module `TCP-MIB' -:0 1 module-not-found failed to locate MIB module `UDP-MIB' -:0 1 module-not-found failed to locate MIB module `SNMPv2-MIB' -:0 1 module-not-found failed to locate MIB module `RFC1213-MIB' -:0 1 module-not-found failed to locate MIB module `IPV6-ICMP-MIB' -:0 1 module-not-found failed to locate MIB module `IPV6-MIB' -:0 1 module-not-found failed to locate MIB module `SNMP-COMMUNITY-MIB' -:0 1 module-not-found failed to locate MIB module `SNMP-FRAMEWORK-MIB' -:0 1 module-not-found failed to locate MIB module `SNMP-MPD-MIB' -:0 1 module-not-found failed to locate MIB module `SNMP-NOTIFICATION-MIB' -:0 1 module-not-found failed to locate MIB module `SNMP-PROXY-MIB' -:0 1 module-not-found failed to locate MIB module `SNMP-TARGET-MIB' -:0 1 module-not-found failed to locate MIB module `SNMP-USER-BASED-SM-MIB' -:0 1 module-not-found failed to locate MIB module `SNMP-USM-DH-OBJECTS-MIB' -:0 1 module-not-found failed to locate MIB module `SNMP-VIEW-BASED-ACM-MIB' |
Wireshark와 Putty로 원격 Linux 패킷 캡춰하기 (0) | 2016.09.12 |
---|---|
원격(Remote)으로 Wireshark 사용하기 (0) | 2009.11.10 |
※ 하단 글은 2009년에 작성된 글이며, Windows에서 Linux를 원격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가 더 유용합니다.
http://j2doll.tistory.com/532 Wireshark와 Putty로 원격 Linux 패킷 캡춰하기
[글/2009년]
Packet Sniffing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ethereal의 후예인 Wireshark는 무료로 제공되기 때문에 더더욱(?) 유용하면서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GTK를 지원하므로 윈도우즈 이외에도 리눅스, 맥 등에서 사용가능하다. 자세한 Wireshark 사용 방법은 다른 글을 참조하고, 이 글은 Wireshark를 사용할 줄 아는 이가 원격 타겟의 패킷 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만을 기술한다.
일단 대상은 다음을 대상으로 한다.
- Linux : x86, 32bit
- Winpcap 4.0
- Wireshark 0.99
* 원격 Wireshark 연결 *
1> 테스트 파일은 x86(i386) 32bit Linux 만 지원
2> 타겟 linux에서 rpcapd 실행
# ./rpcapd -n
-n : 사용자 계정없이 연결
-h : 도움말 출력
-4 : ipV4만 지원 (ipv6는 지원하지 않는다.)
: 윈도우즈 Wireshark일 경우,
C:\Program Files\WinPcap\rpcapd.exe 를 실행하면, 인자는 동일하다.
3> 실행후, 데몬인 rpcapd는 포트 2002인 tcp서버로 작동한다.
( -p 옵션을 주면 포트를 조정할 수 있다.)
4> 원격지에 wireshark-setup-0.99.8.exe 를 설치한다.
(wireshark 버전 주의)
5> capture options / capture / interface 에
rpcap://192.168.0.38/eth0
의 형식으로 입력한다.
(192.168.0.38은 ip주소이고, eth0는 타겟의 이더넷 카드 정보이다.)
물론, 존재하지 않는 이더넷인 경우 접속이 실패한다.
6> 연결이 성공하면, wireshark가 capture상태가 된다.
(필요하면, capture filter를 설정하여 정보를 걸러서 보도록 한다.)
not host 192.168.50.25
(위의 Wireshark 필터는 192.168.50.25와 통신하는 내용은 캡춰하지 않음)
Wireshark와 Putty로 원격 Linux 패킷 캡춰하기 (0) | 2016.09.12 |
---|---|
Mac OS X Snow Leopard 에서 Wireshark 1.2.3 설치 (0) | 2009.11.13 |
const object 상수형 객체 (0) | 2010.09.09 |
---|---|
c++ std exception example (0) | 2010.05.04 |
Google ctemplate (0) | 2009.07.08 |
C++ 함수 가림 현상(name hiding)과 using 키워드 활용하기 (0) | 2009.03.08 |
GCC를 활용한 공유 라이브러리 생성 및 활용 방법 (0) | 2009.03.07 |
Windows XP 에서 iCloud Control Panel 설치(INSTALL) (4) | 2011.10.25 |
---|---|
[Q-Dir] 여러개의 Windows 탐색기를 하나로 사용 (0) | 2010.04.09 |
IEEE 1471 (0) | 2009.05.18 |
Ghostscript & GSview for Windows (4) | 2009.01.13 |
Word 2007 부활절 달걀(easter egg) (0) | 2007.09.20 |
c++ std exception example (0) | 2010.05.04 |
---|---|
[CodeBlocks & wxPack] 손쉽게 Windows에서 wxWidgets(wxWindows) 개발 환경 구성하기 (3) | 2009.10.30 |
C++ 함수 가림 현상(name hiding)과 using 키워드 활용하기 (0) | 2009.03.08 |
GCC를 활용한 공유 라이브러리 생성 및 활용 방법 (0) | 2009.03.07 |
Windows XP 에서 Cygwin 구성 - (2) (0) | 2009.02.19 |
[Q-Dir] 여러개의 Windows 탐색기를 하나로 사용 (0) | 2010.04.09 |
---|---|
VMWare Fusion Windows 설치와 F8 키 (0) | 2009.08.06 |
Ghostscript & GSview for Windows (4) | 2009.01.13 |
Word 2007 부활절 달걀(easter egg) (0) | 2007.09.20 |
Acrobat 최대 파일 관리 pdf 파일 개수는?? (0) | 2007.09.12 |
[CodeBlocks & wxPack] 손쉽게 Windows에서 wxWidgets(wxWindows) 개발 환경 구성하기 (3) | 2009.10.30 |
---|---|
Google ctemplate (0) | 2009.07.08 |
GCC를 활용한 공유 라이브러리 생성 및 활용 방법 (0) | 2009.03.07 |
Windows XP 에서 Cygwin 구성 - (2) (0) | 2009.02.19 |
C++ 자료형의 최대/최소값 (0) | 2009.02.16 |
소프트웨어 패턴 목록 (0) | 2024.11.14 |
---|---|
로깅 및 에러 핸들링 전략: 안정성과 유지보수성 향상 방안 (0) | 2024.11.12 |
소프트웨어 설계 원칙을 활용한 인터페이스 설계 (0) | 2024.11.12 |
다양한 언어에서의 Mix-in 패턴 구현: Ruby부터 다른 언어들까지 (0) | 2024.11.04 |
정적 타이핑을 둘러싼 나의 내적 갈등 (0) | 2018.06.14 |
Google ctemplate (0) | 2009.07.08 |
---|---|
C++ 함수 가림 현상(name hiding)과 using 키워드 활용하기 (0) | 2009.03.08 |
Windows XP 에서 Cygwin 구성 - (2) (0) | 2009.02.19 |
C++ 자료형의 최대/최소값 (0) | 2009.02.16 |
History of C/Unix/C++/Linux/gcc/glibc (0) | 2009.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