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다항 시간(
polynomial time
) 은 계산 복잡도 이론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계산 시간이 입력 크기(n)의 다항식 함수로 표현될 수 있는 경우 를 의미합니다.
-
빅오 표기법(
Big-O notation
) 으로 시간 복잡도를 나타냅니다. -
다항 시간의 예:
-
다항 시간이 아닌 예:
- 다항 시간 알고리즘은 효율적(
tractable
) 이라고 간주됩니다. -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다항 시간 내에 해결 가능하다면, 현실적인 계산 자원으로 처리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 외판원 문제(TSP) :
(브루트 포스 탐색)
- SAT 문제 (모든 경우의 수 탐색 시) :
- P 클래스 는 다항 시간 안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든 결정 문제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 즉, P 클래스의 문제들은 다항 시간 내에 풀 수 있는 문제들입니다.
728x90
반응형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달의 법칙(Amdahl's Law) (0) | 2024.12.23 |
---|---|
축 분리 정리 (Separating Axis Theorem, SAT) (0) | 2024.12.21 |
희소 자원의 효율적 배분 (0) | 2024.12.20 |
MILP: 혼합 정수 선형 계획 (Mixed-Integer Linear Programming) (0) | 2024.12.20 |
정n각형의 외접원과 내접원 (0) | 2024.12.19 |